GS칼텍스 KIX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S칼텍스 KIXX는 1970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으로, 1970년 호남정유 여자 배구팀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구단명 변경을 거쳤다. 1990년대에는 '무적 함대'로 불리며 9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는 등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으며, 프로화 이후에는 V-리그에서 세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KOVO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국제 대회인 AVC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한 경력이 있다. 현재는 장충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스포츠 - 장충체육관
장충체육관은 서울 중구 장충동에 있는 대한민국 최초의 실내 경기장으로, 스포츠 경기와 문화 공연이 개최되고 1970년대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사당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GS칼텍스와 우리카드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서울특별시의 스포츠단 - 서울 SK 나이츠
서울 SK 나이츠는 1997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세 번, 정규리그에서 두 번 우승했으며, 서장훈, 김선형, 최준용, 자밀 워니 등이 주요 선수이고 문경은과 전희철의 등번호는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의 스포츠단 -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 삼성 썬더스는 1978년 창단하여 2001년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한 한국프로농구 소속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2회 우승했으며 잠실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GS칼텍스 KIXX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GS칼텍스 서울 Kixx 배구단 |
약칭 | GS칼텍스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창단 | 1970년 |
해체 | 해당사항 없음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홈 경기장 | 장충체육관 |
수용 인원 | 4,507명 |
구단주 | 허세홍 |
단장 | 비공개 |
감독 | 이영택 |
주장 | 강소휘 |
리그 | V-리그 |
웹사이트 | GS칼텍스 서울 Kixx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녹색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색상 | 상의: 0184BC (청록색), 하의: 17324D (짙은 남색) |
원정 유니폼 색상 | 상의: FFFFFF (흰색), 하의: 000000 (검은색) |
시즌 결과 | |
2023-24 시즌 | 정규 시즌 4위,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2. 역사
1970년 9월 21일 호남정유 여자 배구팀으로 창단되었다. 당시 고교 최강 팀이었던 풍문여고 선수들을 스카우트하여 팀을 강화했고, 1974년 9월 실업 배구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3]
1990년대는 김철용 감독 아래, 장윤희, 이도희, 박수정, 홍지연, 정선혜 등 국가대표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1990-91년 대통령배부터 1998-99년 슈퍼리그까지 9년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여자 배구 금메달 역시 김철용 감독과 호남정유 배구단 선수들이 주축이 되었다.[4] 1995년 슈퍼 리그에서는 한일합섬에서 무등록 선수를 출전시키는 바람에 호남정유가 몰수 우승을 차지했다.[5]
2000년대 들어 GS칼텍스는 주전 선수들의 노쇠화와 은퇴로 현대건설에게 챔피언 자리를 내주었고, 프로화 이후에는 KT&G와 흥국생명에게도 밀렸다.
프로 배구 출범 후, GS칼텍스는 신인 드래프트에서 김민지, 나혜원 등 유망주들을 영입했지만, 고참 선수들이 없어 경험 부족을 겪으며 '가능성'만 있는 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희완 감독은 2007년 시즌 중반 위암 판정을 받고 물러났고, 이성희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2007년 오프시즌, GS칼텍스는 FA 계약을 통해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로부터 정대영과 이숙자를 영입하고, 한국도로공사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김소정을 영입했다. 그러나 주전 선수들의 부상과 세터 이숙자와 공격수들 간의 호흡 문제는 시즌 초반 불안한 출발을 야기했다.
하지만, 정대영과 배유나가 센터 포지션에서 세터 이숙자와의 호흡이 살아나고 수비가 점차 좋아지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2008년 3월 2일, 성남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정규리그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KT&G를 2승으로 꺾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 GS칼텍스는, 흥국생명에게 패했으나, 이후 3경기를 내리 따내며 3승 1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98-1999년 슈퍼리그 우승 이후 9년 만이자, 프로 전환 후 최초의 우승이었다. 챔피언 결정전 MVP는 정대영이 차지했으며, 이성희 수석코치는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이성희 감독은 2009-10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한 후 사임했고, 이후 조혜정 감독이 부임했으나 부진으로 사임했다. 이선구 감독 취임 후 2012년 코보컵에서 우승했고, NH농협 2013~2014 V-리그에서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를 상대로 3승 2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2. 1. 창단 초기 (1970년대)
1968년 경성방직(현 경방) 여자배구단으로 창단하여 운영하다가 1970년 9월 8일에 락희그룹에 인수되어 '''호남정유 여자 배구단'''으로 구단명을 변경했다.[3] 1970년대 여자 배구의 최강자이자 정유업계의 경쟁 업체였던 대한석유공사(現 SK에너지)와 라이벌 관계를 이뤘다. 호남정유 여자배구단은 당시 고교 최강팀이었던 풍문여고 선수들을 스카우트하여 팀을 정비하고 1974년 9월 2차 실업배구연맹전에서 팀의 사상 첫 우승을 일궈냈다.2. 2. 무적 함대 시대 (1990년대)
1990년대 대한민국 여자 배구계는 '호남정유 배구단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1990년대에 압도적인 성적을 냈다. 그래서 호남정유 배구단은 '''무적 함대'''라고 불렸다. 1991년 3월부터 1995년 1월 3일 류화석 감독이 이끌었던 선경인더스트리에게 1:3으로 패해 연승 행진이 멈출 때까지 무려 92연승을 기록했다.[4] 김철용 감독의 지도 아래 장윤희, 이도희, 박수정, 홍지연, 정선혜 등 국가대표팀 출신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1990~91 대통령배 대회부터 1998~1999년 슈퍼리그에 이르기까지 무려 9년 연속 우승을 거두게 된다.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의 여자 배구 금메달 역시 김철용 감독은 물론 대부분 호남정유 배구단 선수들이 주축이 되었다.1995년 슈퍼 리그에서는 보기 드물게 라이벌 팀 한일합섬에서 무등록 선수를 출전시키는 바람에 호남정유가 몰수 우승을 차지한 이색적인 기록이 있다.[5]
2. 3. 프로화 이후 (2000년대~현재)
2000년대 들어 GS칼텍스는 주전 선수들의 노쇠화와 은퇴로 인해 현대건설에게 챔피언 자리를 내주었고, 프로화 이후에는 KT&G와 흥국생명에게도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2003년에는 오랫동안 팀을 이끌었던 김철용 감독이 물러나고 고려증권 출신의 박삼용 감독이 부임했지만, 성적 부진은 계속되어 2006년에 박삼용 감독은 물러났다. (이후 박삼용 감독은 KT&G에서 김의성 감독의 재계약을 포기하고 영입되어 감독으로 복귀, 2010년에 첫 우승을 차지한다.)프로 배구 출범 후, GS칼텍스는 신인 드래프트에서 김민지, 나혜원 등 유망주들을 영입했지만, 이들을 이끌 고참 선수들이 없어 경험 부족을 겪으며 '가능성'만 있는 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05 시즌부터 4위-5위-4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희완 감독은 2007년 시즌 중반 위암 판정을 받고 물러났고, 이성희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는 등 코칭스태프에도 혼선이 있었다.
2007년 오프시즌, GS칼텍스는 FA 계약을 통해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로부터 정대영과 이숙자를 영입하고, 한국도로공사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김소정을 영입하는 등 전력 보강에 힘썼다. 또한, 신인 드래프트에서 고교생 국가대표 배유나를 지명하며 단숨에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그러나 정대영의 맹장 수술을 비롯한 주전 선수들의 부상과, 세터 이숙자와 공격수들 간의 호흡 문제는 시즌 초반 불안한 출발을 야기했다. 이희완 감독의 위암 수술로 인해 이성희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는 등 악재가 계속되었고, 팀은 6연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서울 중립 경기 이후, 컨디션 난조를 겪던 정대영과 센터와 라이트를 오가며 갈팡질팡하던 배유나가 센터 포지션에서 세터 이숙자와의 호흡이 살아나고 수비가 점차 좋아지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6라운드에서는 리그 1, 2위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와 대전 KGC인삼공사를 모두 꺾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2008년 3월 2일, 리그 4위팀 성남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정규리그 3위에게 주어지는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냈다.
플레이오프에서 KT&G를 2승으로 꺾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 GS칼텍스는,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흥국생명에게 패했으나, 이후 3경기를 내리 따내며 3승 1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98-1999년 슈퍼리그 우승 이후 9년 만이자, 프로 전환 후 최초의 우승이었다. 챔피언 결정전 MVP는 정대영이 차지했으며, 이성희 수석코치는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이성희 감독은 2009-10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한 후 사임했고, 이후 조혜정 감독이 부임했으나 극심한 부진으로 사임했다. 이선구 감독 취임 후 2012년 코보컵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NH농협 2012~2013 V-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러나 NH농협 2013~2014 V-리그에서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를 상대로 베띠의 몰빵 공격에 힘입어 3승 2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3. 역대 성적
GS칼텍스 KIXX는 대한민국 배구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V-리그'''
- '''우승 (3회):''' 2007-08, 2013-14, 2020–21
- 준우승 (2회): 2008-09, 2012-13
- '''KOVO컵'''
- '''우승 (6회):''' 2007, 2012, 2017, 2020, 2022, 2023
- 준우승 (3회): 2014, 2018, 2021
- '''AVC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우승''': 1999
3. 1. 프로화 이전
GS칼텍스 KIXX는 프로화 이전, 대통령배 및 슈퍼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91년부터 1999년까지 9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으며, 1988년, 2000년, 2001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대회 | 시즌 | 순위 |
---|---|---|
대통령배 | 1988 | 준우승 |
대통령배 | 1990 | - |
대통령배 | 1991 | 우승 |
대통령배 | 1992 | 우승 |
대통령배 | 1993 | 우승 |
대통령배 | 1994 | 우승 |
슈퍼리그 | 1995 | 우승 |
슈퍼리그 | 1996 | 우승 |
슈퍼리그 | 1997 | 우승 |
슈퍼리그 | 1998 | 우승 |
슈퍼리그 | 1999 | 우승 |
슈퍼리그 | 2000 | 준우승 |
슈퍼리그 | 2001 | 준우승 |
슈퍼리그 | 2002 | 3위 |
슈퍼리그 | 2003 | - |
V-Tour | 2004 | 5위 |
3. 2. 프로화 이후 (V-리그)
GS칼텍스 KIXX는 프로화 이후 V-리그에서 세 번 우승했다. 2007-08 시즌, 2013-14 시즌, 2020-21 시즌에 우승했으며, 2008-09 시즌과 2012-13 시즌에는 준우승했다.시즌 | 정규리그 순위 | 경기수 | 승 | 패 | 승점 | 포스트시즌 |
---|---|---|---|---|---|---|
2005 | 4위 | 16 | 4 | 12 | 20 | 진출 실패 |
2005-06 | 5위 | 28 | 6 | 22 | 6 | 진출 실패 |
2006-07 | 4위 | 24 | 8 | 16 | 8 | 진출 실패 |
2007-08 | 3위 | 28 | 14 | 14 | - | 우승 |
2008-09 | 1위 | 28 | 19 | 9 | - | 준우승 |
2009-10 | 3위 | 28 | 16 | 12 | - | 플레이오프 |
2010-11 | 5위 | 24 | 4 | 20 | - | 진출 실패 |
2011-12 | 6위 | 30 | 10 | 20 | 33 | 진출 실패 |
2012-13 | 2위 | 30 | 21 | 9 | 62 | 준우승 |
2013-14 | 2위 | 30 | 20 | 10 | 57 | 우승 |
2014-15 | 5위 | 30 | 8 | 22 | 28 | 진출 실패 |
2015-16 | 4위 | 30 | 15 | 15 | 47 | 진출 실패 |
2016-17 | 5위 | 30 | 12 | 18 | 37 | 진출 실패 |
2017-18 | 4위 | 30 | 14 | 16 | 40 | 진출 실패 |
2018-19 | 3위 | 30 | 18 | 12 | 52 | 플레이오프 |
2019-20 | 2위 | 27 | 19 | 8 | 54 | 미진행 |
2020-21 | 1위 | 30 | 20 | 10 | 58 | 우승 |
2021-22 | 2위 | 31 | 20 | 11 | 62 | 미진행 |
2022-23 | 6위 | 36 | 16 | 20 | 48 | 진출 실패 |
2023-24 | 4위 | 36 | 18 | 18 | 51 | 진출 실패 |
KOVO컵에서는 2007년, 2012년, 2017년, 2020년, 2022년, 2023년에 우승하여 총 6번 우승했고, 2014년, 2018년, 2021년에는 준우승했다.
3. 3. 국제 대회
1999년 대회에서 우승하였다.대회 | 우승 | 준우승 |
---|---|---|
AVC 클럽 배구 선수권 대회 | 1999 |
4. 선수단
현재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명 | 포지션 |
---|---|
한수지 | 센터 |
김주희 | 레프트 |
한다혜 | 리베로 |
레티치야 모마 바소코 | 라이트 |
안혜진 | 세터 |
오지영 | 리베로 |
강소휘 | 레프트 |
최은지 | 레프트 |
한수진 | 리베로 |
김지원 | 세터 |
문명화 | 센터 |
김유리 | 센터 |
문지윤 | 레프트 |
권민지 | 레프트 |
유서연 | 레프트 |
오세연 | 센터 |
윤결 | 레프트 |
김보빈 | 윙 리시버 |
김도연 | 미들 블로커 |
4. 1. 코칭 스태프
감독 | 차상현 |
수석 코치 | 임동규 |
4. 2. 선수
선수명 | 포지션 |
---|---|
한수지 | 센터 |
김주희 | 레프트 |
한다혜 | 리베로 |
레티치야 모마 바소코 | 라이트 |
안혜진 | 세터 |
오지영 | 리베로 |
강소휘 | 레프트 |
최은지 | 레프트 |
한수진 | 리베로 |
김지원 | 세터 |
문명화 | 센터 |
김유리 | 센터 |
문지윤 | 레프트 |
권민지 | 레프트 |
유서연 | 레프트 |
오세연 | 센터 |
윤결 | 레프트 |
김보빈 | 윙 리시버 |
김도연 | 미들 블로커 |
이전 선수 | |
배유나 | |
김민지 | |
이정옥 | |
남지연 | |
이숙자 | |
정대영 | |
한송이 | |
Raquel Silva|라켈 실바pt | |
Andréa Spojin|안드레아 스폴진pt | |
Bethania de la Cruz|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es | |
Eve Lisvel|에베 리스벨es | |
Destinee Hooker|데스티니 후커영어 | |
Sanja Popović|산야 포포비치hr | |
Tereza Rossí|테레사 로시cs | |
Sarah Pavan|사라 파반영어 | |
캐서린 벨 | |
Aliona Martiniuc|알료나 마르티뉴크ro | |
Mele-Anetone Li'a Sitanilei|멜레테 라츠영어 | |
Laetitia Moma Bassoko|레티시아 모마프랑스어 | |
나혜원 | |
오현미 | |
장윤희 |
5. 역대 감독
6. 홈 구장
GS칼텍스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도원실내체육관을,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장충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1][2]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박정희체육관을,[3]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이충문화체육센터 실내체육관을 임시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4] 2015년부터 현재까지 다시 장충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5]
기간 | 홈 구장 |
---|---|
2005년~2009년 | 도원실내체육관 |
2009년~2013년 | 장충체육관 |
2013년~2014년 | 박정희체육관 (임시) |
2014년~2015년 | 이충문화체육센터 실내체육관 (임시) |
2015년~현재 | 장충체육관 |
참조
[1]
웹사이트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 – TEAM
https://www.gsvolley[...]
2023-11-16
[2]
뉴스
기다렸다…프로배구, 내달 3일 삼성화재-KEPCO 개막
http://sports.mk.co.[...]
MK스포츠
[3]
뉴스
호남정유 배구 창단
http://newslibrary.n[...]
연합뉴스
1970-09-09
[4]
뉴스
호남정유 92연승 마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5]
뉴스
배구협, '무등록 선수 파문' 김철용 감독에 전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